인공지능,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 간단히 알아보기

인공지능(AI) 분야에서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학습 방법론인 지도학습비지도학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 두 가지 접근법은 각각의 용도와 특성이 다르며, 실제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지도학습이란?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은 훈련 데이터와 그에 대한 정답(label)이 주어지는 학습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통해 모델은 주어진 데이터에서 패턴을 찾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데이터를 예측하거나 분류하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예를 들어, 이메일 스팸 필터링 시스템은 수많은 이메일 데이터를 분석하여, 스팸과 정상 이메일의 특정 특징을 학습합니다. 이 과정에서 훈련 데이터는 각 이메일과 그 결과(스팸/정상)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도학습의 주요 알고리즘

지도학습에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이 사용되는데, 대표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알고리즘 설명
선형 회귀 연속적인 값을 예측하는 데 주로 사용됩니다.
로지스틱 회귀 이진 분류 문제에 사용되는 알고리즘입니다.
결정 트리 데이터의 특성을 기반으로 분류하는 방법입니다.
서포트 벡터 머신 고차원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류하는 데 강력한 기법입니다.

비지도학습이란?

반면,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은 정답이 없는 데이터로부터 패턴이나 구조를 찾아내는 학습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의 숨겨진 구조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고객 세분화의 경우, 기업은 고객의 구매 기록을 분석하여 유사한 행동을 보이는 고객 그룹을 찾아냅니다. 이 과정에서는 각 고객에게 라벨을 부여할 필요 없이, 데이터 간의 유사성과 차이를 기반으로 클러스터링합니다.

비지도학습의 주요 알고리즘

비지도학습에서도 다양한 알고리즘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고리즘 설명
K-평균 클러스터링 데이터를 K개의 그룹으로 분류하는 알고리즘입니다.
PCA(주성분 분석) 고차원 데이터를 저차원으로 줄이는 방법입니다.
DBSCAN 밀도가 높은 데이터를 클러스터링하는 알고리즘입니다.

결국, 지도학습과 비지도학습은 각각의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실제 문제에 따라 적합한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두 가지 방법을 잘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인공지능의 가능성을 더욱 확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