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청년정책 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가 오는 6월 시행된다.
청춘도약계좌는 일정 금액을 모으면 한번에 5000만원을 모을 수 있어 눈길을 끈다.
약 300만 명의 젊은이들에게 혜택을 주는 이 정책의 가입 대상과 조건을 쉽게 알려드리겠습니다.
-- 디스플레이수평반응형(23.2.14) -->
유스립 계정이란?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구축을 돕기 위해 고안된 정책금융상품입니다.
19~34세 청년들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이 있고 5년간 매달 40~70만원을 내면 은행이자 외에 정부가 내는 것은 상품이고 그에 비례해 더 많이 지급된다.
6% 지원 금액으로.
Qingyue 가입 조건
- 만 19세~34세(1988~2004년생)의 청년
- 구독 기간: 2023년 6월 ~ 2025년 12월 31일
- 소득조건 : 개인소득 6천만원 미만, 가계소득 중위소득 180% 미만
- 정부지원 : 소득수준에 따라 4~6% 지원
- 한도 : 월 70만원 이하
- 의무가입기간 : 5년
개인 소득 외에 가계 소득이 중위의 180% 이하여야 하므로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청춘도약 계정 주의사항
- 면세 한도는 연간 840만 원입니다.
(월 700,000원) - 무직자는 가입할 수 없습니다.
소득이 있는 분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 2022년 초 이전 정부에서 출시한 상품인 ‘청년희망 적금’과 동시 가입 불가 이전 신청이 가능합니다.
- 의무가입기간에 해지하거나 탈퇴하면 이 부분은 면세됩니다.
다만, 가입자의 사망, 해외이사, 질병, 생애최초 주택구입자, 천재지변, 퇴직 등 분명한 사유가 있습니다. - 가입자는 자신의 투자 운용 유형(주식 유형, 채권 유형, 예금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공시 하다**
청년도약계좌/청년희망적금 적금비교
2023년 6월부터 이 정부가 시행하는 청년도약계정은 이전 정부에서 도입한 적금으로 저축을 희망하는 청년,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대상: 19~34세의 근로 청년.
- 기간 : 청년도약계좌 5년 / 청년희망적금 2년
- 월 최대 납입액 : 청년도약계좌 70만원 / 청년희망적금 50만원
- 소득조건 : 청년도약계좌 개인소득 6천만원 이하 및 가계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청년기대저축계좌 연소득 3천600만원 이하 또는 종합소득 2천600만원 이하
- 비과세: 이자 소득은 비과세입니다.
-- 디스플레이반응형 -->
청춘도약계좌와 청춘희망적금 적금방향은 중복가입이 불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습니다.
아직 유스리프 계정의 세부 사항이 확정되지 않았으니 현 정부 발표 및 보도자료를 참고해주시길 바라며, 세부 사항이 확정되는 대로 다시 업데이트하여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을 쌓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정부에서 확정한 세부 지원 방안이 발표되면 6월부터 청약을 받기 시작하니 상황에 맞게 판단하시고 본인에게 맞는 상품을 선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