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친미 지도자 숙청 원해…친중화

조선일보 2023.3.1.04:33

중국과 미국의 개혁개방을 추진하면서…변화의 기로에 서다

1980년대부터 개혁개방을 추진해 온 베트남은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지난 1월 친미 성향의 응우옌 쑤언 푹(69) 대통령이 뇌물 수수 의혹으로 사임한 데 이어 친중 성향의 밥 반 트엉(53)이 그의 후계자로 이번 주 선출될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 공산당 총서기(1위), 국가주석(2위), 총리(3위), 국회의장(4위) 등 ‘빅4’는 모두 친일파다.

-중국 파벌, 베트남은 순식간에 친중화될 것이고, 일각에서는 중국화될 것을 우려한다.

주요 외신의 분석에 따르면 최근 퇴임한 응우옌 쑤언 푹(Nguyen Xuan Phuc) 대통령을 비롯한 고위 관리 3명이 친미 성향으로 분류됐다며 베트남 외교의 초점이 중국으로 옮겨갔다.

독일 공기업 도이체벨레는 “불명예를 안은 응우옌 쑤언 푹(Nguyen Xuan Phuc) 대통령이 서방 자본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며 “그의 사임으로 베트남 친중 엘리트 세력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콩 ‘아시아타임즈’는 “추방된 이들이 모두 서방 세력인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베트남에서는 민간 부문의 영향력을 줄이고 인터넷을 통제하는 등 중국식 지배적 관행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https://v.daum.net/v/20230301043348752
베트남, 친미 지도자 숙청 원해…친중화

베트남, 친미 지도자 숙청 원해…친중화

1980년대부터 개혁개방을 추진해 온 베트남은 변화의 기로에 서 있다.

지난 1월 친미 성향의 응우옌 쑤언 푹(Nguyen Xuan Phuc, 69) 대통령이 뇌물 수수 의혹으로 사임한 데 이어 친중공산당 대표 밥 반통(53)도 사임했다.

v.daum.net